결과및고찰
액비를 사용한 고추 밭에서 화학성분 분석
질소비료 무처리구(무처리구), 화학비료 관행 처리구(요소 비료 처리구), 돈분여과액비 처리구(액비 처리구)에서 비료 처리 전 후 시기에 토양 화학성분을 조사하였다(Table 1). 요소 비료 처리구는 통상 고추 재배에 시비되는 관행 시비법에 따라 기비 1회, 추비 3회로 시비하였다. 액비 처리구의 경우 질소비료 기비를 실시하지 않고 전량 추비로 8회에 나눠 시비함으로써 아산화질소 저감과 고추 생육 증가를 함께 확보하고자 하였다. 질소 성분 분석 결과에 의하면 비료 처리 전 암모니아태 질소는 2.04±2.62 mg/kg, 질산태 질소는 12.71±4.53 mg/kg 등으로 분석되었다. 토양 화학성분 자료를 바탕으로 토양 검정 시비량을 산출하였고, 질소 19.1 kg/10 a, 인산 24.3 kg/10 a, 칼리 19.8 kg/10 a 등으로 산출되었다(Table 2). 무처리구에서는 암모니아태 질소와 질산태 질소가 각각 8.85±5.94 mg/kg, 3.29±2.16 mg/kg로 분석되어 고추에 의해 토양의 질소가 흡수되어 크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요소 비료 처리구에서는 암모니태 질소와 질산태 질소가 각각 5.65±3.72 mg/kg, 36.32±28.1 mg/kg으로 나타나 비료 처리 전에 비해 각각 2배, 3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액비 처리구에서는 암모니아태 질소와 질산태 질소가 각각 6.06±5.51 mg/kg, 13.24±9.18 mg/kg으로 나타나 요소비료 처리구에 비해 암모니아태 질소는 더 많이 축적된 반면 질소태 질소는 약 35%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질소비료를 처리하기 전의 토양에서 측정된 질소태 질소량과 비슷한 수준이다. 이러한 결과는 돈분여과 액비를 2주 간격으로 8회에 나누어 관비로 처리함으로써 질산태 질소로의 전환이 억제된 결과로 생각된다.
액비를 사용한 고추 밭에서 아산화질소 발생량 감소
질소비료 무처리구, 요소비료 처리구, 액비 처리구에서 아산화질소 발생을 비교하였다(Fig. 1). 비료 처리 후 강우 시 아산화질소 발생량이 크게 증가하는 것으로 측정되었다. 특히 요소비료 처리구에서는 5월 30일 기준 아산화질소가 약 5,000 ppb 수준으로 증가하였지만 같은 시기 액비를 처리한 처리구에서는 약 600 ppb (5월 30일) 정도만 측정되어 요소비료 처리구 대비 20%의 발생량만 검출되었다. 이 후 7월 9일 전 후 강우가 집중된 시기에 다시 한 번 요소비료 처리구에서는 약 3,500 ppb 수준으로 아산화질소가 발생하였으나 액비가 처리 된 처리구에서는 약 1,500 ppb (7월 20일, 28일) 수준으로만 발생하여 요소비료 처리구 대비 약 40% 수준의 아산화질소만 검출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액비를 관비로 분시하는 비료처리 방식이 아산화질소 발생을 저감하는데 탁월한 효과가 있는 것을 보여준다. 이는 화학적 처리인 요소비료와 달리 액비는 다양한 유기물 형태의 질소를 포함하고 있어 무기질 형태인 암모니아태 질소 또는 질산태 질소로 전환하는데 시간이 소요되고, 8회에 나누어 분시를 함으로써 요소비료 처리구에 비해 탈질화 박테리아가 이용할 수 있는 잉여 무기 질소가 상대적으로 많지 않은 것이 원인으로 해석된다.
액비 사용 고추의 생장율 증대
무처리, 요소비료, 그리고 액비를 시용한 고추의 생장량을 비교하였다(Fig. 2). 각각 초장, 경경, 주경장을 측정한 결과 요소비료 처리구에서는 무처리구 대비 매우 유의한 수준으로 초장과 경경이 각각 10.1%, 10.4%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고, 주경장도 유의한 수준으로 5.7% 증가했다. 액비 처리구도 초장, 경경, 주경장이 각각 13%, 9.4%, 4.1%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Fig. 2a-c). 질소 무처리구 대비 질소비료의 추가로 유의한 수준의 고추 생장량이 관찰되었으며 특히 주경장 대비 경경의 생장 촉진이 두드러진 것으로 보아 초기 고추 생장에 영향이 큰 것으로 보인다. 고추를 수확한 후 고추의 수확량을 생체중(wet weight)(Fig. 2d), 건중량(dry weight)(Fig. 2e), 그리고 수확된 고추 개수(Fig. 2e)로 측정한 결과 돈분 액비 처리구에서 수확된 고추량은 무처리구에 비해 유의한 수준으로 증가했으며 요소비료 처리구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생체중 측정에서는 오히려 요소비료 처리구에 비해 유의한 수준으로 증가된 수치를 보였는데 이는 열매의 개수가 증가한 결과로 보여진다(Fig. 2d and f). 고추로 흡수된 영양성분을 잎, 줄기, 뿌리, 열매에서 각각 측정한 결과 요소비료 처리구와 액비 처리구에서는 무처리구에 비해 작물 개체당 더 많은 질소, 인, 칼륨이 측정되었고, 특히 잎과 줄기에서 크게 증가하여 앞선 경경, 주경장 크기 비교에서 확인했던 비료의 초기 영양 성장 촉진 효과를 확인하였다(Fig. 2a-c and Fig. 3). 액비 처리구에서는 요소비료 처리구 대비 청색과 붉은색 고추 열매에서 질소, 인산, 칼륨 세 가지 원소가 모두 높게 측정되어 액비 처리구의 열매 수확량 증대 효과를 다시 한 번 확인할 수 있었다(Fig. 2d, 2f and Fig. 3). 전체적으로 돈분 액비는 고추의 영양성장과 생식성장을 충분히 촉진하여 관행 화학비료 처리구와 유사하거나 증진된 수확량을 나타내었다. 이는 돈분 액비가 포함하고 있는 유기태 질소들이 무기태로 전환되고 다시 질산화되는 시간이 요소비료가 암모니아를 거쳐 질산화되는 시간보다 상대적으로 길어 고추가 지속적으로 무기태 질소를 흡수 이용하게 되어 고추의 생장이 촉진되었고, 또한 분시 회수가 많아진 만큼 질산태에서 탈질화되는 잉여 무기 질소가 줄어들어 탈질화로 유출되는 토양 질소량이 상대적으로 줄어들면서 아산화질소의 생성량도 감소한 것으로 생각된다.
액비 사용 고추 밭에서 박테리아 군집 분석
무처리, 요소비료, 그리고 액비 처리구에서 박테리아 군집의 변화를 관찰하였다(Fig. 4). 16S rDNA 염기서열 분석을 통한 군집분석 결과, 시험 포장에서 발견되는 가장 많은 토양 박테리아는 Bacillus, Staphylococcus, 그리고 JG30-KGCM45 속으로 분석되었다. 하지만 이들 주요 박테리아들은 요소비료 또는 돈분 액비 처리시 군집 내 상대적인 점유율에서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16S rDNA 유전자 개수를 기준으로 1000-10000번 사이로 검출된 박테리아를 색조 타일형식으로 나타내었고(Fig. 4a), 이들 중 10% 이상 차이를 나타내는 박테리아 속을 따로 분류하여 표시했다(Fig. 4b-e). 화학비료 형태인 요소비료 처리시 증가한 박테리아는 Haliangium, Cutibacterium, BC2-11_terrestrial, Gitt-GS-136, TRA3-20, Stenotrophomonas, Nitrosospira로 나타났으며, 10% 이상 감소한 박테리아는 Pseudomonas, CCD24, Pseudonocardia, Agromyces로 나타났다(Fig. 4b and c). 한편 돈분 액비를 처리한 구에서만 증가한 박테리아는 KD4-96, JG30-KF-CM66, Vicinamibacteraceae, RBG-13-54-9, Solirubrobacteraceae, Planifilum이었으며, 10% 이상 감소한 박테리아는 Steroidobacter, JTB23, Acidibacter, WD2101_soil, Allokutzneria, Hamadaea로 분석되었다(Fig. 4d and e). 이들 중 Nitrosospira 속은 암모니아 산화균으로 알려져 있으며 아산화질소를 생성하는 탈질화 과정에 관여하는 박테리아로 알려져 있다. 요소비료를 처리한 구에서 Nitrosospira가 상대적으로 증가한 결과는 해당 처리구에서 아산화질소가 크게 증가한 것을 잘 설명해준다[37](Fig. 1a, 4b). 돈분 액비 처리구에서는 Nitrosospira 속의 양이 무처리구와 유사한 수준인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이는 돈분 액비 처리방법이 요소비료와 달리 토양 질소 탈질화 박테리아의 생장을 촉진하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주며 돈분 액비 처리에서 아산화질소 발생량이 매우 억제된 결과를 잘 설명한다.
탈질화 과정 관련 유전자 분석
비록 군집분석을 통해 탈질화 박테리아인 Nitrosospira를 검출하였으나 밝혀지지 않은 탈질화 박테리아들의 전체적인 생장 촉진을 측정하기 위하여 탈질화 관련 유전자를 분석하였다(Fig. 5). 이러한 메타지노믹 방법은 Nitrosospira를 포함하여 다양한 탈질화 박테리아들의 생장량을 반영하는 것으로 탈질화 유전자의 증가는 탈질화에 관여하는 박테리아의 수가 증가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탈질화 과정에 관여하는 유전자로는 암모니아 산화 유전자(ammonia monooxygenase, amoA), 탈질화 유전자(nirK, nirS, 그리고 nosZ)들이 알려져 있으며[37], 각각의 비료 처리구에서 비료 처리 3일 후 3종의 탈질화 유전자, nirK, nirS, 그리고 nosZ 유전자의 증감을 관찰하였다(Fig. 5). 결과 요소 비료를 처리한 시험구에서 nirK와 nosZ 유전자가 비료 무처리구에 비해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돈분 액비를 처리한 시험구에서는 상대적으로 크게 증가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탈질화 관련 이러한 결과는 돈분 액비를 처리한 시험구에서 요소비료 처리구에 비해 낮은 아산화질소 생성량이 관찰되는 것을 잘 설명한다.
본 논문에서 얻은 결과들을 종합해 볼 때 실험에 사용된 돈분 액비는 고추의 생장량을 증가시키면서 대기 온실효과의 주요 가스인 아산화질소 생성량을 크게 감축시킬 수 있는 친환경적인 질소비료로 사용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돈분 액비가 아산화질소 생성량을 감축시킬 수 있는 요인으로 돈분 액비가 요소비료에 비해 상대적으로 유기태 질소를 많이 포함하고 있으며, 분시를 통해 토양에 무기태 질소 공급이 적절히 제어되었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요인들로 인해 탈질화에 사용되는 질산태 무기질소의 양이 감소되고 따라서 탈질화에 관여하는 박테리아의 생성이 관행 요소비료 사용에 비해 낮은 수준으로 유지되었다고 생각된다. 이와 같이 본 논문을 통해 돈분 액비를 통한 고추 생산량 증대와 심각한 온실가스인 아산화질소의 저감 방법을 도출하였다.
Note
The authors declare no conflict of interest.
References
1. Manne, AS., & Richels,RG.
((2001)).
An alternative approach to establishing trade-offs among greenhouse gases..
Nature
410.
675
- 677.
2. Lawrence, NC., Tenesaca, CG., VanLoocke, A., & Hall,SJ.
((2021)).
Nitrous oxide emissions from agricultural soils challenge climate sustainability in the US Corn Belt..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118.
e2112108118.
3. Mosier,AR.
((1994)).
Nitrous oxide emissions from agricultural soils..
Fertilizer Research
37.
191
- 200.
4. Tian, H., Xu, R., Canadell, JG., Thompson, RL., Winiwarter, W., Suntharalingam, P., Davidson, EA., Ciais, P., Jackson, RB., & null,null.
((2020)).
A comprehensive quantification of global nitrous oxide sources and sinks..
Nature
586.
248
- 256.
5. Cramer, ES., Briggs, MS., Liu, N., Mailyan, B., Dwyer, JR., & Rassoul,HK.
((2017)).
The impact on the ozone layer from NOx produced by terrestrial gamma ray flashes..
Geophysical Research Letters
44.
5240
- 5245.
6. Crutzen,PJ.
((1979)).
The role of NO and NO2 in the chemistry of the troposphere and stratosphere..
Annual Review of Earth and Planetary Sciences
7.
443
- 472.
7. Tian, H., Yang, J., Xu, null., Lu, C., Canadell, JG., Davidson, E., Jackson, RB., Arneth, A., Chang, JF., & null,null.
((2019)).
Global soil nitrous oxide emissions since the preindustrial era estimated by an ensemble of terrestrial biosphere models: Magnitude, attribution, and uncertainty..
Global Change Biology
25.
640
- 659.
8. Ravishankara, AR., Daniel, JS., & Portmann,RW.
((2009)).
Nitrous oxide (N2O): The dominant ozone-depleting substance emitted in the 21st century..
Science
326.
123
- 125.
9. Yue, Q., Wu, H., Sun, JF., Cheng, K., Smith, P., Hillier, J., Xu, XR., & Pan,GX.
((2019)).
Deriving emission factors and estimating direct nitrous oxide emissions for crop cultivation in China..
Environmental Science & Technology
53.
10246
- 10257.
10. Thompson, RL., Lassaletta, L., Patra, PK., Wilson, C., Wells, KC., Gressent, A., Koffi, EN., Chipperfield, MP., Winiwarter, W., & null,null.
((2019)).
Acceleration of global N2O emissions seen from two decades of atmospheric inversion..
Nature Climate Change
9.
993
- 998.
11. Mosier, AR., Duxbury, JM., Freney, JR., Heinemeyer, O., & Minami,K.
((1996)).
Nitrous oxide emissions from agricultural fields: Assessment, measurement and mitigation..
Progress in Nitrogen Cycling Studies
589
- 602.
12. Janssens-Maenhout, G., Crippa, M., Guizzardi, D., Muntean, M., Schaaf, E., Dentener, F., Bergamaschi, P., Pagliari, V., Olivier, JGJ., & null,null.
((2019)).
EDGAR v4.3.2 Global Atlas of the three major greenhouse gas emissions for the period 1970-2012..
Earth System Science Data
11.
959
- 1002.
13. Zhao, Z., Cao, LK., Deng, J., Sha, ZM., Chu, CB., Zhou, DP., Wu, SH., & Lv,WG.
((2020)).
Modeling CH4 and N2O emission patterns and mitigation potential from paddy fields in Shanghai, China with the DNDC model..
Agricultural Systems
178.
102743.
14. Reay, DS., Davidson, EA., Smith, KA., Smith, P., Melillo, JM., Dentener, F., & Crutzen,PJ.
((2012)).
Global agriculture and nitrous oxide emissions..
Nature Climate Change
2.
410
- 416.
15. Beauchamp,EG.
((1997)).
Nitrous oxide emission from agricultural soils..
Canadian Journal of Soil Science
77.
113
- 123.
16. Geddes, JA., & Martin,RV.
((2017)).
Global deposition of total reactive nitrogen oxides from 1996 to 2014 constrained with satellite observations of NO2 columns..
Atmospheric Chemistry and Physics
17.
10071
- 10091.
17. Jia, YL., Yu, GR., Gao, YN., He, NP., Wang, QF., Jiao, CC., & Zuo,Y.
((2016)).
Global inorganic nitrogen dry deposition inferred from ground- and space-based measurements..
Scientific Reports
6.
19810.
18. Xu, W., Luo, XS., Pan, YP., Zhang, L., Tang, AH., Shen, JL., Zhang, Y., Li, KH., Wu, QH., & null,null.
((2015)).
Quantifying atmospheric nitrogen deposition through a nationwide monitoring network across China..
Atmospheric Chemistry and Physics
15.
12345
- 12360.
19. Stehfest, E., & Bouwman,L.
((2006)).
NO and NO emission from agricultural fields and soils under natural vegetation: Summarizing available measurement data and modeling of global annual emissions..
Nutrient Cycling in Agroecosystems
74.
207
- 228.
20. Giles, M., Morley, N., Baggs, EM., & Daniell,TJ.
((2012)).
Soil nitrate reducing processes drivers, mechanisms for spatial variation, and significance for nitrous oxide production..
Frontiers in Microbiology
3.
407.
21. Robertson,G.
((1987)).
Nitrous oxide sources in aerobic soils: Nitrification, denitrification and other biological processes..
Soil Biology and Biochemistry
19.
187
- 193.
22. Bremner,JM.
((1997)).
Sources of nitrous oxide in soils..
Nutrient Cycling in Agroecosystems
49.
7
- 16.
23. Philippot, L., Andert, J., Jones, CM., Bru, D., & Hallin,S.
((2011)).
Importance of denitrifiers lacking the genes encoding the nitrous oxide reductase for N2O emissions from soil..
Global Change Biology
17.
1497
- 1504.
24. Bergaust, L., Shapleigh, J., Frostegård, Å., & Bakken,L.
((2008)).
Transcription and activities of NOx reductases in Agrobacterium tumefaciens: the influence of nitrate, nitrite and oxygen availability..
Environmental Microbiology
10.
3070
- 3081.
25. Bakken, LR., Bergaust, L., Liu, B., & Frostegård,Å.
((2012)).
Regulation of denitrification at the cellular level: A clue to the understanding of N2O emissions from soils..
Philosophical Transactions of the Royal Society B: Biological Sciences
367.
1226
- 1234.
26. Betlach, MR., & Tiedje,JM.
((1981)).
Kinetic explanation for accumulation of nitrite, nitric oxide, and nitrous oxide during bacterial denitrification..
Applied and Environmental Microbiology
42.
1074
- 1084.
27. Thomsen, JK., Geest, T., & Cox,RP.
((1994)).
Mass spectrometric studies of the effect of pH on the accumulation of intermediates in denitrification by Paracoccus denitrificans..
Applied and Environmental Microbiology
60.
536
- 541.
28. Burford, J., & Bremner,J.
((1975)).
Relationships between the denitrification capacities of soils and total, watersoluble and readily decomposable soil organic matter..
Soil Biology and Biochemistry
7.
389
- 394.
29. Bateman, E., & Baggs,E.
((2005)).
Contributions of nitrification and denitrification to N2O emissions from soils at different water-filled pore space..
Biology and Fertility of Soils
41.
379
- 388.
30. Van den Heuvel, R., Bakker, S., Jetten, M., & Hefting,M.
((2011)).
Decreased N2O reduction by low soil pH causes high N2O emissions in a riparian ecosystem..
Geobiology
9.
294
- 300.
31. Cheng, Y., Elrys, AS., Merwad, ARM., Zhang, HM., Chen, ZX., Zhang, JB., Cai, ZC., & Müller,C.
((2022)).
Global patterns and drivers of soil dissimilatory nitrate reduction to ammonium..
Environmental Science & Technology
56.
3791
- 3800.
32. Pandey, C., Kumar, U., Kaviraj, M., Minick, KJ., Mishra, AK., & Singh,JS.
((2020)).
DNRA: A short-circuit in biological N-cycling to conserve nitrogen in terrestrial ecosystems..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738.
139710.
33. Lai, TV., Ryder, MH., Rathjen, JR., Bolan, NS., Croxford, AE., & Denton,MD.
((2021)).
Dissimilatory nitrate reduction to ammonium increased with rising temperature..
Biology and Fertility of Soils
57.
363
- 372.
34. Huygens, D., Rütting, T., Boeckx, P., Van Cleemput, O., Godoy, R., & Müller,C.
((2007)).
Soil nitrogen conservation mechanisms in a pristine south Chilean Nothofagus forest ecosystem..
Soil Biology and Biochemistry
39.
2448
- 2458.
35. Rütting, T., Huygens, D., Müller, C., Van Cleemput, O., Godoy, R., & Boeckx,P.
((2008)).
Functional role of DNRA and nitrite reduction in a pristine south Chilean Nothofagus forest..
Biogeochemistry
90.
243
- 258.
36. Smith, P., Martino, D., Cai, Z., Gwary, D., Janzen, H., Kumar, P., McCarl, B., Ogle, S., O’Mara, F., & Rice,C.
((2007)).
Agriculture, in: Contribution of Working Group Climate Change 2007: Mitigation of Climate Change: Working Group III Contribution to the Fourth Assessment Report of the IPCC..
497
- 540.
37. Lourenço, KS., Cassman, NA., Pijl, AS., Van Veen, JA., Cantarella, H., & Kuramae,EE.
((2018)).
Nitrosospira sp. govern nitrous oxide emissions in a tropical soil amended with residues of bioenergy crop..
Frontiers in Microbiology
9.
674.